1인당 100만 원 구매 가능 10% 할인 온누리 상품권
2022년 12월 01일 연말 한 달간 중소벤처기업부가 온누리상품권 특별 할인 판매를 시작하였다.
중소벤처기업부는 높은 물가로 인해 힘든 국민들과 전통시장 상인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행사를 진행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구매 형식은 올해 8월 29일 에 새로 출시한 충전식 카드형 상품권. 모바일 상품권. 지류 상품권 등 온누리 상품권 3가지가 모두 해당 대상이라고 한다. 디지털에 취약한 고령층을 위해 올해 처음으로 지류상품권도 처음으로 10% 할인 판매를 ㅅ행한다.
온누리 상품권 할인판매 규모는 전국적으로 총 5000억 원 규모로 진행 중이다.
12월 한달간 10% 할인 혜택을 적용해 1인당 100만 원 한도 내에서 구매 가능하다고 하니 조금 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기회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12월 한 달간 진행 예정이지만 상품권 재고 소진으로 조기 마감될 수 있는 점은 참고하시길 바란다. 전통시장 내에서도 가맹점 등록된 곳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터넷 "전통시장 통통"검색 후 "가맹점 찾기"클릭 후 지역을 검색하여 시장명이 나타나면 가맹점 찾기 현황을 클릭하면 가맹점 확인이 가능하다.
온누리 상품권 사용방법과 사용처
온누리 상품권이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의 판매를 촉진하고,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해서,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 시장 진흥공단이 발행하는 전통시장 및 상점가 전용 상품권으로 오천 원권, 일만 원권 삼만 원권 3종류로 발행이 되며, 온누리 상품권은 발행일로부터 5년간 사용이 가능하다. 은행에서 결제하여
◈ 온누리상품권 지류상품권 구매 가능 은행 (총 16개 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KB국민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수협. 신협. NH농협은행. 우체국. 새마을금고, IBK기업은행. 수협은행. 하나은행
◈ 온누리상품권 전자상품권 구매가능 은행 (총 7개 은행)
우리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경남은행. IBK기업은행. 수협은행. 하나은행
BC카드 ( 12곳 이용 가능) : 경남은행. 농협은행. 우리은행. BC 바로. 대구은행. 경남은행. 부산은행. 새마을금고.
케이 뱅크. 수협. 제주은행. 신협 사용 가능
◈ 온누리 모바일 상품권 구매 가능 어플 (총 20개 중 선택하여 어플 활용 가능)
(농협) 올원 뱅크. (경남) 투유 뱅크. (광주) 스마트뱅킹. (대구) IM뱅크. (부산) 썸 뱅크. (전북) 뉴스마트 뱅킹 (우리) WON
머니트리. 비플제로 페이. 체크 페이. 페이코. 유비페이. 핀트. 핀크. 제로 페이 온. 티머니 페이. 제로 페이 010. 시럽. 콕 뱅크
TIP ) 은행에서 결재하는 경우 해당 은행 계좌가 없으면 이용에 제한이 된다. 페이코처럼 간편 어플 결제는 최대 20개의 은행계좌가 연동되어 있어 간단한 결제가 가능하다고 한다.
◈ 간편하게. 모바일 어플"온누리 상품권" 충전식 카드 활용하기
코로나 이후 지역화폐도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지역화폐는 할인된 가격과 30% 체크카드 소득공제가 적용되는 반면,
전통시장에서 사용하는 온누리상품권이 지류 상품권이 카드형 상품권으로 올해 2022년 8월 29일에 출시되면서 더욱 간편한 사용과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사용 혜택을 살펴보면 첫째, 충전식 카드를 통해 기존 보유한 카드를 등록해 기존 카드결제 방식과 동일하게 사용 가능하며. 둘째, 상품권 할인 구매 혜택과 카드 사용실적에 반영이 가능하고, 셋째, 연말정산 시 전통시장 소득공제 혜택(40%)을 받을 수 있다. 지류형 상품권에 다소 불편함이 많게 느끼는 젊은 층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앱으로 출시하여, 젊은 층의 온누리상품권 활용이 기대된다. 전통시장 내에서도 가맹점 등록이 된 곳만 사용 가능 해 앱으로 간편하게 가맹점 찾기를 통해서 등록된 가맹점을 보다 편리하게 확인하고 이용 가능하다.
소비자를 위해 한층 더 간편해진 온누리 상품권, 마트도 좋지만 전통시장을 이용해 보는 것도 소비를 절약하고 시장상인들의 훈훈한 인심도 느끼며 일석이조의 쇼핑이 되지 않을까?
'공유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시 아동급식카드시스템 전면 개편 (0) | 2022.12.08 |
---|---|
2023년 최저시급인상.부모급여지급.대학교입학금전면폐지 (0) | 2022.12.07 |
겨울철 감기 예방법[목감기.코감기 빨리낫는 꿀팁] (0) | 2022.12.03 |
2023년 "검은 토끼의 해" 계묘년 공휴일.대체공휴일 총정리 (0) | 2022.12.02 |
2023년 1월 1일부터는 "유통기한" 대신 "소비기한사용" (0) | 2022.12.02 |